본문 바로가기

까칠맨129

이러닝의 발전을 위해서는...벗어나야한다. 1. 들어가기 엉뚱이님의 포스트, http://www.heybears.com/2512053 를 보고 늘 하고 싶었던 말을 여기에서 쏟아 내 본다. 내 비록 교육공학,조직/인사 등의 HRD 관련 전공이나 전문적인 지식은 없어도 8년여 동안 이 바닥에서 굴러먹은 그 경험 하나로 지금까지 버텨왔고..이 글을 써본다. 교육공학 전공하신 박사님들이나 현재 컨텐츠 개발에 노력 중이신 여러 PM들께서 기분나쁘셔도 할 수 없다. 현실이니까... 엉뚱이님의 포스트에 있는 동영상을 보니 이러닝 인재개발 세미나의 한 장면과 관계자의 인터뷰였다. 이러닝은 시스코의 좀 챔버스 회장이 인터넷 이후의 차세대 핵심 산업이 될거라고 하는 등 블루칩 중에 하나였다. 잠깐 다녀왔던 미국이였지만 정말 미국이라는 나라에서는 이러닝 이라는 단.. 2008. 11. 10.
우리 현실에서는 창의적인 인재가 나올 수 없다?!? 요즘 HRD업계에서의 가장 화두는 바로 창의,창조이다. 애플의 스티브 잡스와 같은... 창의적인 인재 한명이 기업을 살리고 글로벌 판도를 좌지우지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임직원 직무교육을 통해서 자신들의 구성원의 마인드 셋팅을 하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 역시 HRD,이러닝 회사에 근무하고 여러가지 일을 해봤지만... 창의.창조라는 것을 학습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은 절대로 아니라고 의구심을 갖는 사람 중에 하나다. 결국 우리와 같은 회사는 장사(?)를 하기 어려워야 그게 현실적이고 기업에서 정신을 차린 것이라고 본다는 것이다 기술,외국어,경영일반 등에 대한 것들은 조직과 관련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개인의 의지와 노력으로 셀프 스터디(SELF STUDY)가 가능하다. 하지만..창의.. 2008. 11. 9.
이러닝이 그렇게 만만한게 아니다. 이것이 대기업 계열사들의 이러닝의 실체 자주 대화나누고 한 번 뵈었던 블로거 중에 엉뚱이님이라고 계신다. 이러닝 전문가로써 현업에 근무하고 계시고 IT 다방면에도 식견이 넓은 분이다. 우리나라의 이러닝 시장은 언론이나 관련 부처에서 발표를 하기에는 수조원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고 말하고들 있다. 하지만 실제 그런가? 대표적인 이러닝 기업의 매출을 다 합쳐도.... 1조원이 되지 되지도 않을 듯 한데... 각설하고 최근에 엉뚱이님 포스트 처럼 대기업 또는 이질적(?)인 기업에서 이러닝 사업을 뛰어 들고 있다. 한솔교육, 중고등 시장 진출 예스24 "공연·이러닝 사업으로 영역 확장" 1. 한솔교육의 중고등 이러닝시장 진출에 대해... 영유아 교육 시장의 대표 기업인 한솔교육이 단단출판이라는 중고등 출판 업체.. 2008. 11. 2.
성공한 기업의 CEO는 성공한 것인가? 작금의 상황이..실로 10여년전 보다 더욱 좋치 않다고 본다. 내 비록 경제 전문가는 아니지만... 환율과 증시가 이렇게 미친듯이 지랄(?)을 한 적이 10년 간 없었다. 기업은 어디에 장단을 맞춰야 할지 모르고... 한심한 경제부처 역시 뭘 해야할 지 모른다. 이런 상황에서도 이런 말들이 있다. "그래도 살아남는 기업은 살아남는다"... 늘 나오는 말이다. 그럼 과연 이번 난리에 살아남는 기업은 어디일까? 또 그 살아남는 기업이 살아남은 이유는 어떤 것이 될까 궁금하다. 그 중에서도 CEO 및 경영진의 역할이 제일 중요하다고 본다. 오늘 백화점 불만에 대한 포스팅을 하다가 연계 되어 생각이 나서 몇 자 적어본다. 국내외 적으로 성공한 기업의 창립자 또는 현재 CEO는 성공한, 존경받을 만한 분들이 많다.. 2008. 10. 19.